"The best thing about him is he's been watching us."
The best thing about him | 명사구 (주어) | 그에 대해 가장 좋은 점은 |
is | 동사 (be동사) | ~이다 |
he's been watching us | 현재완료진행형 | 그가 우리를 계속 지켜보고 있다는 것 |
🔍 시제: 현재완료진행형
he's been watching = he has been watching
-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보고 있다
- 감시하거나 관찰 중인 뉘앙스
- 구체적 행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강조
⚠️ 의미와 뉘앙스
문장 자체는 문법적으로 맞지만, 상황에 따라 다음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해요:
1. 긍정적인 해석 (드물게)
- 누군가가 잘 살펴봐 주고 있다는 뜻으로
예: 선생님, 멘토, 리더가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는 의미
"The best thing about him is, he's been watching us grow and supporting us."
2. 부정적/의심스러운 해석 (더 일반적)
- 몰래 감시하거나, 수상하게 지켜보는 느낌
- 예: CCTV 감시, 몰래 보는 사람 등
"The best thing about him is he's been watching us."
→ "우리를 계속 지켜보고 있는 게 그의 최고의 장점이다" → (음산하게 들림)
✍️ 자연스럽고 명확하게 바꾸려면:
"he's been watching us" | "he's been keeping an eye on us" | 관심 있게 지켜보는 느낌 (긍정적) |
"he's been supporting us quietly" | 도와주고 있다는 점을 강조 | |
"he's always looking out for us" | 보호, 돌봄 뉘앙스 |
✅ 핵심 정리
"is" 뒤에 절이 올 수 있냐?
→ 올 수 있습니다, 특히 명사절이나 that절, 의문사절 등이 옵니다.
🔍 예시로 살펴보기
1. That절 (명사절)
"The truth is that he lied."
→ 진실은 그가 거짓말했다는 것이다.
→ 여기서 "that he lied" 는 명사절이고, is 뒤에 왔습니다.
2. 의문사절 (간접의문문)
"The question is where he went."
→ 문제는 그가 어디로 갔는지이다.
→ "where he went" = 절이고, is 뒤에서 보어 역할
3. 현재완료진행형이 포함된 절
"The best thing is he's been helping us."
→ 가장 좋은 점은 그가 우리를 계속 도와주고 있다는 것이다.
- 이 구조와 비슷한 게 바로 질문하신 문장:
"The best thing about him is he's been watching us."
→ 맞는 구조입니다.
→ "he's been watching us"가 하나의 **절(주어 + 동사 포함)**로, 보어 역할
"When I get home"**에서 **"get"**의 의미는 아주 자주 쓰이는 구어체 동사 용법 중 하나입니다.
✅ "When I get home" 해석:
"내가 집에 도착하면"
→ 여기서 get = 도착하다 (arrive)
🔍 get의 다양한 의미 중에서
도착하다 | get home, get to school | 집에 도착하다, 학교에 도착하다 |
얻다 | get a job | 직장을 얻다 |
이해하다 | I get it. | 이해했어 |
상태가 되다 | get tired | 피곤해지다 |
사다 | get some milk | 우유 좀 사다 |
📌 왜 "arrive" 대신 "get"을 쓸까?
- "get"은 더 구어체스럽고 자연스러운 표현
- "arrive home"은 문법적으로 약간 딱딱하고, "arrive at home"은 틀림
→ 그래서 원어민은 보통 **"get home"**이라고 말합니다
✍️ 예문
- When I get home, I’ll call you.
→ 집에 도착하면 전화할게 - What time did you get home last night?
→ 어젯밤에 몇 시에 집에 들어왔어? - He always gets home late.
→ 그는 항상 집에 늦게 와
🚫 잘못된 표현 주의
- ❌ get to home → 틀림
- ❌ arrive to home → 틀림
- ✅ get home
- ✅ arrive home (가능하지만 격식 있음)
✅ 요약
"get" in "get home" = 도착하다, 집에 오다
→ 가장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구어체 표현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