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"make up"은 구동사입니다
make + up은 합쳐져서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**구동사 (phrasal verb)**예요.
make up = “만들다 / 구성하다 / 정리하다 / 꾸며내다”
→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됩니다.
🔍 "made up a list" = 목록을 정리해서 만들다
- make a list: 단순히 "목록을 만들다"
- make up a list:
→ 생각해서 항목을 정리하고, 구성해서 만든 목록
→ 더 능동적이고 “계획적으로 정리한 느낌”이 강해요.
📌 여기서 up은 완성, 정리, 전체 구성의 느낌을 더해주는 부사입니다.
🎯 예문 비교:
- I made a list of groceries.
→ 그냥 목록을 썼다. - I made up a list of groceries.
→ 내가 생각하고 정리해서 장보기 목록을 만들었다.
✅ 비슷한 구동사 느낌:
구동사의미
set up a meeting | 회의를 준비하고 조직함 |
write up a report | 보고서를 완성해서 정리함 |
draw up a plan | 계획을 세세하게 작성함 |
come up with an idea | 아이디어를 생각해냄 |
📌 이런 경우 모두 up은 단순한 동작이 아니라 **"완성, 정리, 구성"**의 느낌을 줍니다.
✅ 요약
표현해석up의 의미
make a list | 목록을 만들다 | 일반적인 동작 |
make up a list | 생각해서 구성하고 정리한 목록을 만들다 | 완성, 정리, 구성의 느낌 |
You needed something taken care of on your jacket
✅ 1. 전체 해석
“네 자켓에 뭔가 정리(처리)할 게 있었잖아.”
또는
“네 자켓에 뭔가 손봐야 할 게 있었지.”
(예: 실밥이 튀어나왔거나 먼지가 묻었거나, 지퍼가 망가졌을 수도 있음)
✅ 2. 문법 구조 분석
🔹 문장:
You needed something taken care of on your jacket
구성설명
You | 주어 (너) |
needed | 과거 시제 동사 (필요로 했다) |
something | 목적어 (무언가) |
taken care of | 과거분사구 (수동 의미) – “처리된, 손본” |
on your jacket | 전치사구 – 자켓 위에, 자켓에 대해서 |
🔍 핵심 문법 포인트:
✅ "need + something + past participle" 구조
→ **"무언가가 ~되어야 한다 / 처리되어야 한다"**라는 뜻
📌 수동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.
예문 비교:
- I need this fixed. → 이거 고쳐져야 해.
- She needed her hair done. → 그녀는 머리를 손봐야 했어.
- You needed something taken care of. → 네가 뭔가 처리해야 할 게 있었어.
✅ 해석 뉘앙스 정리
표현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
You needed something taken care of | 너 뭔가 처리해야 할 게 있었지 |
on your jacket | 네 자켓에 관련된 |
📌 즉, 네 자켓에 손봐야 할 게 있었지 / 뭔가 정리할 게 있었지 라는 뜻이 됩니다.
반응형